핀란드의 스타트럽 생태계 시스템에서 가장 돋보이는 점

 

1) 깐깐하게 선별한뒤 정부 불간섭

 - 대상자 선별은 시장 전문가

 - 검증이후에는 정부가 경영에 일절 간섭하지 않음

 

2) 실패해도 괜찮은 사회 안전망

 

정부의 할일 - '선수가 되지 않기'

* 이해 당사자 간 갈등 조정

* 사회안전망 마련

* 스타트업 해외 진출을 돕기 위한 세일즈 외교

 

* 사업 유지, 성과 부풀리기에 빠져 있는 한국 공무원 시스템

 - 시장의 참여자가 아닌, coordinatorㅡsupporter가 되어야 이나라 스타트업이 바로 살 수 있다

 

참고자료:

https://www.mk.co.kr/news/business/view/2019/05/343920/

https://news.joins.com/article/23495351

다이이찌산쿄는 100년 이상의 전통을 가진 두개의 기업 (산쿄, 다이이찌제약)이 2005년 합병하면서 탄생했다.

합병 후 기업은 글로벌 제약사 매출 26위로 ㅡ 일본에서는 3번째 위치로 성장했다.

 

- 규모적으로 쉽게 비교를 위해, 국내 매출 1위인 유한양행 (2018년 1조 5천억) 과 비교해 본다면 약 6배 이상 (9200억엔)을 기록한 기업이라고 이해하면 된다.

 

다이이찌산쿄는 2008년 독일 U3파마를 1억 5000만 유로(약 2000억원)에, 2011년에는 미국 바이오벤처 플렉시콘을 8억 5000만 달러(약 1조원)에 각각 인수했다. 또한, 아스트라제네카 등과 ADC(항체약물접합) 항암제를 공동개발 중이다.

 

이창헌 한국 M&A 소장은 제약/바이오산업의 M&A 투자 전략 강연에서 다음과 같이 오픈이노베이션의 형태를 구분했다.

 

△기술이전형(기술도입, 기술판매) 

△위탁개발형 

△지분투자형·시설투자형 

△합작투자형(조인벤처, 공동개발)

△임상, 마케팅지원형(상업화)

△협력 네트워크형 

△융합형 등

 

이중에서도 특별히 융합형 오픈이노베이션 (IT, 바이오, 제약, 화학, 빅데이터 등) 이 향후 신약개발을 하는데 크게 효율성을 높여주게 될 것으로서 기업의 가치를 크게 증가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특히, 글로벌 시장에서 글로벌 기업과의 경쟁을 위해서는 해외의 기업들을 M&A 하는 브라운 필드 투자 (Brown field investment) 전략을 적극 활용해야 하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 브라운 필드 투자

- ‘브라운필드(Brown field)’와 ‘그린필드(Green field)’ 투자는 국외기업에 직접 투자하는 방식을 말한다. 브라운필드 투자는 이미 설립된 회사를 사들이는 것이다. 초기 설립 비용이 들지 않고 인력, 생산라인 등의 확장을 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2009년 세계 경기 불황으로 이전에 비해 싼 가격에 매물이 많이 나오고 있어 브라운필드 투자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 그린 필드 투자

- 그린필드투자는 국외자본이 투자대상국의 용지를 직접 매입해 공장이나 사업장을 새로 짓는 방식의 투자를 말한다. 그린필드투자는 외국인직접투자(Foreign Direct Investment; FDI)의 한 방식으로, 비용이 많이 들고, 생산하기까지 시간이 오래 걸리지만, 투자를 받는 국가 입장에서는 기존 기업에 대한 인수·합병으로 이뤄지는 외국인직접 투자의 또 다른 방식인 브라운필드투자에 비해 고용창출 효과가 더 크다는 장점이 있다. 그린필드투자의 대표적인 사례에는 현대차의 체코 공장과 기아차의 미국 조지아 공장이 있다. 반면에 브라운필드투자는 초기 설립비용을 들이지 않고, 인력·생산라인 등의 확장을 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투자 후 조기에 정상조업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는데, 포스코가 인도네시아 국영철강사와 합작으로 일관제철소를 설립한 것이 대표적인 사례로 꼽힌다.

 

 

참고 :

- 매일경제용어사전

-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3870406622550912&mediaCodeNo=257&OutLnkChk=Y

제약바이오 기업간 인수/합병 (M&A) 뿐만 아니라 이종 산업간 M&A가 갈수록 활발해지고 있다.

 

한정화 교수 (한양대학교 경영대학원)에 따르면,  글로벌 제약사간 메가딜을 분석 결과 제약/바이오 기업 간 M&A는 3억 4800만 달러, 이종산업간 M&A는 1억 8000만 달러에 달한다고 밝혔다.

 

지난해 글로벌 제약·바이오 업계에서 진행된 M&A 거래건수 1438건, 거래금액은 3396억 달러로 지난 10년간 최대치를 기록했다”며 “오는 2022년에는 제약바이오 M&A시장 규모가 1조5000억달러(한화 약 1600조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지난해 업계 M&A 건수 1438건, 금액 3396억 달러로 지난 10년간 최대치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러한 결과의 배경에는 신규 파이프라인 확보를 위한 기업들의 적극적인 의지를 자체적인 자원에서 찾기보다는 다양한 연구소, 기업과의 협력 및 기술 도입 등을 통해서 이루어 가는 것이 트렌드가 되어가고 있음을 암시하고 있다.

 

또한 한정화 교수는 2012년까지 280여개 회사를 분석결과 자체 개발을 통한 신약개발 보다 오픈이노베이션을 통한 신약개발의 성공률이 3배이상 높다는 연구결과를 언급하며, 오픈이노베이션의 83%가 아웃소싱 및 라이센싱형이라고 소개했다.

 

이러한 트렌드에 따라, 향후 기술력을 바탕으로 설립된 많은 바이오벤처 기업들이 글로벌 무대에서 활약하기 좋은 발판이 마련될 것으로 기대된다.

 

참고자료 : https://www.sedaily.com/NewsView/1VLK9FR8C3

에이프로젠이 국내 11번째 유니콘 기업으로 등록되었다.

 

에이프로젠은 김재섭 대표가 카이스트 교수 재직 당시 2000년 제넥셀을 설립하고 2006년 에이프로젠을 인수하면서 사업을 본격화했다. 이후 2009년 자회사인 에이프로젠제약으로부터 바이오시밀러 기술을 이전받아 2014년 일본 니치이코 제약과 판권 계약을 맺으며 성장했다.

 

그러나 2017년 부터 적자 폭이 확대되어, 최근 재무적으로는 좋지 않은 상황임을 나타내고 있어서 주식 투자자들에게서는 에이프로젠의 계열사들에 대해서도 많은 경계의 대상이 되기도 했다. 또한, 에이프로젠KIC와 합병이슈가 자주 있었으나 이에 대해서는 아직 정확한 진행사항을 알기 어렵다.

 

에이프로젠은 레미케이드 바이오시밀러(플릭시진 등) 제품을 주력으로 다양한 항체치료제에 대한 국내 임상 개발과 사업화 권리를 추진하고 있다.

 

 2019년 노벨생리의학상에 따른 영향을 받았는데, 에이프로젠이 HIF 관련 기술에 특허를 취득하였고 암세포 특이적 항암물질을 개발한 것이 부각 되었다.  이것이 최근 200억 투자유치를 하는데  분명히 큰 도움이 되었으리라 추측해 본다.

 

HIF-1 유전자는 저산소 환경에서 발현이 증가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VHL은 HIF-1을 억제 및 분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암세포는 산소가 부족한 상황을 좋아하며, 연구결과에 따르면 신장암세포에서 VHL 유전자를 정상화시키면 세포내 미토콘드리아를 2-3배 많이 생성시켰으며,세포에서 생산되는 프리라디칼이 증가하고, 그 겨과 암세포의 분열이 중단되고 사멸되었다고 한다.

 

반대로 VHL이 감소하면 HIF-1이 안정화되어 혈관 내피세포 성장인자 (VEGF) 발현을 촉진하여, 암 조직 주변에 혈관이 생성되어 암 세포가 증식 및 전이가 촉진된다.

 

즉, HIF-1을 항암 타겟으로 삼을 수 있는 것이다.

 

 

참고자료:

www.researchgate.net

www.sciencedaily.com/

임상 단계별 환자의 종류, 규모는 다르다.

 

1상 통과 확률 63 %

2상 통과 확률 30%

3상 통과 확률 50%

 

모두 곱하면 0.63 * 0.3 * 0.5 약 0.0945 이므로 대략 9% 라고 할 수 있다.

 

이는 전임상을 마친 신약물질이 3상을 통과할 확률이 약 10% 언저리라는 이야기이며,

전임상을 통과하기 전의 후보물질이 3상을 통과하는 확률은 실제로 1% 미만이라고 볼 수 있다.

 

물론, 2상을 통과한 물질들은 50%나 성공의 확률을 가지고 있다고 긍정적으로 생각할 수 있지만

임상 3상에 들어가는 천문학적인 비용을 감안하면 이는 엄청난 리스크라고 할 수 있다 (최소 100억 이상의 비용 추산시

50억 이상의 손해 가능성)

 

 

이는 수백대일의 경쟁을 뚫고 입사지원한 지원자가 3차 면접에서 떨어질 때의 절망과 좌절보다도 극심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참으로 피를 말리는 신약개발이지만, 인내의 과정을 통해 SK바이오팜과 같은 성과를 누군가 낼 수 있게 되리라 기대한다.

 

착한의사는 2017년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하 심평원) 주최 보건의료빅데이터 활용 창업 공모전에서 수상했으며 심평원으로부터 제공받은 기업 맞춤형 의료빅데이터 1,300만 건과 약 50만건의 의학논문을 학습한 인공지능 문진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다.

 

특히 주목할만한 점은 지난 8월에 49% 할인된 가격으로 검진 견적을 받을 수 있는 '7초 검진 견적 서비스'이다.

 

서비스가 가능한 병원은 약 80여개로, 원하는 날짜 ./ 장소 / 검사까지 원스톱 이용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병원 등과 함께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모델을 만들기 위해 굉장히 많은 고민을 했던 흔적들이 보이며,

빅데이터를 활용한 비즈니스 모델을 수립하는 것은 앞으로도 창업을 꿈꾸는 많은 이들의 과제이기도 하다.

 

이들의 성장과 발전을 기대해본다.

에스텍파마는 코스닥에 2004년 상장한 후, 매출액이 증가하여 과거 5년 이상 꾸준히 400억 이상의 매출을 내고 있는 보기드문, 견실한 바이오 기업이다.

 

에스텍파마는 원료 의약품을 전문적으로 생산하는 업체로서, 11월 29일에 빌리루빈 기반 나노 플랫폼 기술 회사인 빌릭스에게 20억 투자 협약을 맺었다.

 

또한, 빌릭스의 원료의약품 생산과 개발업무를 함께 맡기로 협약함으로써 시너지를 극대화하기 위한 과감한 협력을 약속하였다.

 

빌릭스가 보유한 빌리루빈 기반 나노 플랫폼 기술이란 어떤 것인지 알아보도록 하겠다.

 

빌리루빈은 우리 몸속에서 존재하는 헤모글로빈의 최종 대사물이다. 화달유발물질로도 잘 알려져 있으나, 최근 연구에서는 뛰어난 항산화제로 기능해 세포나 조직을 산화스트레스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 아려져,

천연 항염증제로서도 알려지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빌리루빈의 단점은

 

1) 물에 전혀 녹지 않음

2) 농도가 높으면 독성을 유발할 수 있음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친수성 고분자인 PEG를 공유결합시킨 빌리루빈 입자를 활용하는 것, (PEGylated bilirubin) 이 바로 빌리루빈 나노입자를 다양한 적응증에 활용할 수 있게 하는 핵심 기술이다.

 

빌리루빈 자체가 가진 효능 - 항염증, 항산화 - 에 따라서 이를 염증성질환, 허혈성 질환, 뇌졸증 등에 직접 이용하는 것이 향후 빌릭스가 추구할 수 있는 첫번째 임상의 스텝이다.

 

그러나, 생체 유래 나노입자라는 특이성을 활용하여 그 안에 다양한 약물을 담아 표적지까지 무사히 도달 시킬 수 있는

약물전달체 (drug delivery system)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줌으로써 약물 전달에 있어 가장 애를 먹고 있는 질환중 하나인 암의 치료를 위해 활용할 수 있는 많은 가능성을 지녔다.

참고자료 -

http://www.yakup.com/news/index.html?mode=view&cat=12&nid=228645

 

약업닷컴 - 보건의약계를 대표하는 전문신문 - 약사, 의사, 제약사 - 약업신문

검색을 원하는 의약품명을 입력해 주세요.

www.yakup.com

 

에스티큐브는 2017년 11월 코스닥에 상장한 바이오 기업이다.

 

보유 기술의 요는 암세포의 면역관문억제를 차단하는 획기적인 면역항암제이며,

PD-1, PD-L1 단백질의 새로운 기능을 확인하여 글로벌 특허출원을 하였다.

 

그리고 2019년 12월 2일 기존 면역항암제의 한계를 극복한 신약 후보물질인 STT-003 항체를

확보했다고 밝혔다.

 

이는 다국적제약사와의 MTA(물질이전계약)를 통해 공동연구한 결과, PD-1/PD-L1 계열 항체와의 병용투여에서 유효성을 확인한 결과에 따른 것이다.

 

 

면역항암제는 획기적으로 생존률을 높이는 치료제이나, 기존 암환자의 10~20%만 반응을 한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어,

이를 보완하기 위한 많은 병용 물질들이 연구중이다.

 

- 코스닥 상장을 진행중인 '메드팩토' 또한 기존 면역항암제에 병용투여할 후모물질을 임상에서 연구중에 있다.

 

기존 면역항암제가 반응 하지 못하는 이유로는 암 조직의 섬유화 때문에 면역세포가 암세포에 도달하지 못하는 접근 제한 등 종양의 특이적 상태에 영향을 받는 부분들이 많았는데, 암종과 무관하게 기존 면역관문억제제의 기능을 도울 수 있는 다양한 항체들, 단백질, 바이오마커에 대한 연구가 앞으로 더욱 필요하다.

 

에스티큐브의 신약후모물질이 어떠한 기전들을 통해 영향을 미치게 되는지 임상을 통한 구체적 증명이 된다면, 가속화 되는 면역항암제 시장의 연구개발에서 새로운 강자가 등장 할 수 있을까 귀추가 주목된다.

 

다만, 급하게 주목받는 면역관문억제제 시장의 과열 때문에 연구결과에 대한 섣부른 부풀리기나 기대심리를 이용한 과장된 표현들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향후의 연구결과에 대해서 매우 신중하게 지켜봐야만 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P.S 참고 기사

 

1.  (BMS항암제 개발책임자가 말하는 혁신신약이란)

 

http://www.docdocdoc.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72107

 

면역항암제 '여보이·옵디보' 개발자가 말하는 혁신신약이란? - 청년의사

면역항암제의 등장은 암 치료 패러다임의 전환을 불러오며 의학적, 사회적으로 큰 반향을 일으켰다. 기존 항암제 대비 뛰어난 치료료과와 적은 부작용...

www.docdocdoc.co.kr

 

2. 면역관문억제제 병용 치료제로 주목받는 메드팩토의 '백토서팁'

 

https://www.hankyung.com/it/article/201911280672i

 

면역관문억제제 병용 치료제로 주목받는 메드팩토의 '백토서팁'

메드팩토가 개발 중인 면역항암제 '백토서팁(TEW-7197)'이 글로벌 제약사가 판매하는 면역관문억제제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최근 미국에서 열린 면역항암학회(SITC) 학술대회에서 백토서팁의 임상 1b상 및 임상 2상 초기 결과를 공개하면서다. TGF-베타 억제해 암 치료 백토서팁은 종양미세환경을 조성하고 암 전이에 작용하는 형질전환증식인자 'TGF-베타'의 신호전달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2008년부터 2013년까지 김대기

www.hankyung.com

3. 식도암 치료, 면역항암제가 새 지평을 열다

 

http://www.docdocdoc.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74495

 

60년 넘게 정체된 식도암 치료, 면역항암제가 새 지평 열다 - 청년의사

오랜 기간 동안 항암화학요법 외 별다른 치료옵션이 없었던 식도암 영역에 최근 면역항암제들이 기존 치료옵션 대비 효과 개선을 입증하며 새로운 역사...

www.docdocdoc.co.kr